니콜라이 기칼로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니콜라이 기칼로는 1896년 우크라이나에서 태어나 러시아 제국군 군의관으로 복무했으며, 1917년 볼셰비키에 가입했다. 러시아 내전 중 붉은 군대를 지휘하여 적기 훈장을 받았고, 여러 공산당에서 제1서기를 역임했다. 1930년대에는 모스크바 시 및 모스크바 주 위원 서기를 거쳐 벨로루시 공산당 제1서기를 지냈으나, 대숙청 기간 중 체포되어 사형당했다. 1955년 사후 복권되었으며, 체첸 공화국과 민스크 등에 그의 이름을 딴 지명이 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우크라이나의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 - 미하일 키르포노스
미하일 페트로비치 키르포노스는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내전에 참전한 소련 군인으로, 독소 전쟁 초기에 남서 전선 사령관으로 참전하여 키예프 전투에서 전사 후 소련 영웅 칭호와 1급 조국전쟁 훈장을 받았다. - 우크라이나의 제1차 세계 대전 관련자 - 세묜 티모셴코
세묜 티모셴코는 소련의 군인이자 소련 원수로,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내전 참전, 스탈린과의 친분, 소련-핀란드 전쟁에서의 공훈, 국방인민위원 역임, 독소 전쟁에서의 역할 등을 통해 붉은 군대의 핵심 인물로 활약하며 소련 영웅 칭호와 승리 훈장을 받았다. - 아제르바이잔 공산당의 정치인 - 내리만 내리마노프
내리만 내리마노프는 아제르바이잔의 정치인이자 작가, 교육자로,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하여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에 기여하고 소련 중앙 집행 위원회 간부회의 공동 의원을 역임했으며, 문학 작품을 남겼다. - 아제르바이잔 공산당의 정치인 - 미르자 다부드 휘세이노프
아제르바이잔 출신 공산주의 혁명가이자 정치인인 미르자 다부드 휘세이노프는 훔멧당 지도자,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주요 직책, 타지키스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서기장 등을 역임했으나 스탈린 대숙청으로 처형 후 복권되었다. - 우크라이나의 혁명가 - 스테판 반데라
우크라이나의 극우 민족주의자이자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의 지도자였던 스테판 반데라는 우크라이나 독립 운동, 나치 독일 협력, 소련 KGB 암살 등으로 점철된 논란의 인물이다. - 우크라이나의 혁명가 - 시몬 페틀류라
시몬 페틀류라는 러시아 제국령에서 태어나 우크라이나 독립 운동을 이끌었고,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의 요직을 역임했으며, 언론 활동과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나 유대인 학살 연루 논란 속에 암살당했다.
니콜라이 기칼로 - [인물]에 관한 문서 | |
---|---|
기본 정보 | |
![]() | |
원어 이름 (언어) | 러시아어 |
로마자 표기 | Nikolay Fyodorovich Gikalo |
출생 | 1897년 3월 8일 |
출생지 | 러시아 제국 헤르손 현 오데사 |
사망 | 1938년 4월 25일 (향년 41세) |
사망지 | 소련 모스크바 |
소속 정당 |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(1917년–1937년) |
경력 | |
임기 시작 | 1929년 4월 |
임기 종료 | 1929년 6월 |
이전 | 쿠프리안 키르키즈 |
이후 | 이사크 젤렌스키 |
임기 시작 | 1929년 8월 |
임기 종료 | 1930년 6월 |
이전 | 레본 미르조얀 |
이후 | 블라디미르 폴론스키 |
임기 시작 | 1932년 1월 |
임기 종료 | 1937년 3월 |
이전 | 콘스탄틴 게이 |
이후 | 바실리 샤란고비치 |
임기 시작 | 1937년 3월 |
임기 종료 | 1937년 10월 |
추가 정보 | |
출신 학교 | 치프리스 군의학교 졸업 졸업 |
이전 직업 | 군의관 |
수상 | 적기훈장 (1919년) 레닌훈장 (1935년) |
임기 시작 | 1921년 4월 |
임기 종료 | 1921년 |
임기 시작 | 1926년 |
임기 종료 | 1927년 8월 |
2. 초기 생애 및 군 복무
1896년 3월 20일(율리우스력 8일) 러시아 제국 헤르손현 오데사에서 우크라이나계 농민 가정[1](다른 자료에서는 노동자 계급[3] 또는 러시아인[4]으로도 언급됨)에서 태어났다. 1915년 티플리스 군의학교를 졸업하고[5], 같은 해부터 1917년까지 러시아 제국군에서 군의관으로 복무했다[5]. 1917년 7월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(볼셰비키)에 당원으로 가입했다[5].[1]
러시아 제국군 복무 중이던 1917년 7월, 볼셰비키 당원이 되었다.[5] 이후 러시아 내전이 발발하자 북캅카스에서 백군에 맞서 붉은 군대를 지휘했다. 1918년 3월부터 그로즈니 시 위원회 의장 및 시 소비에트 집행위원회 의장을 맡았고, 5월부터는 소비에트군 사령관이 되었다.[5] 같은 해 8월부터 11월까지 그로즈니에서 백군 코사크 부대와의 전투를 성공적으로 지휘했다.[3]
1921년부터 볼셰비키 산악주 위원회 책임 서기를 맡았으며, 1921년(또는 1923년[3])부터 1925년까지 중앙위원회 남동국 멤버로 활동했다. 1924년부터 이듬해까지 북캅카스 지방 위원회 선동·선전부 부장을, 1925년부터 1927년 8월까지는 같은 위원회의 서기 및 제2서기를 역임했다.[5] 1927년까지는 공산주의 아카데미에서 마르크스-레닌주의를 학습했으며[5], 이후 1928년까지 중앙위원회 중앙 아시아국 조직부 부장 및 국원으로 활동했다.[5]
대숙청 기간 중이던 1937년 10월 11일, NKVD에 의해 체포되었다.[2] 그는 영국의 스파이 및 반소련 음모 혐의로 기소되었다.[1][2] 1938년 4월 25일 사형 선고를 받고 같은 날 총살형으로 처형되었다.[1][2]
아내 나탈리아 치조바(1897년~1968년)는 1938년 인민의 적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, 1955년에 복직되었다.[11]
기칼로의 이름은 체첸 공화국의 마을 Гикало|기칼로ru[2]와 블라디캅카스 및 민스크의 거리에 남아 있다.[2] 또한, 그로즈니의 인민 우호 광장에는 가푸르 아흐리예프, 아슬람베크 셰리포프와 함께 세워진 기칼로의 기념비가 있다.[8]
[1]
웹사이트
Гикало Николай Федорович
http://hrono.info/bi[...]
3. 러시아 내전과 초기 경력
1919년에는 볼셰비키 캅카스 지방 위원회 위원이 되었고,[5] 1920년까지 테레크주와 다게스탄주에서 안톤 데니킨이 이끄는 백군과 싸웠다.[3]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19년 적기 훈장을 수여받았다. 1920년부터 1921년까지는 테레크주 소비에트 집행위원회 부의장을 역임했다.[5]
내전 이후에는 당과 소비에트 기관에서 활동을 이어갔다. 1921년부터 볼셰비키 산악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위원회 책임 서기를 맡았다. 같은 해(또는 1923년[3])부터 1925년까지 중앙위원회 남동국 위원이었고, 1924년부터 1925년까지 북캅카스 지방 위원회 선동·선전부 부장을 지냈다. 1925년부터 1927년 8월까지는 북캅카스 지방 위원회 서기 및 제2서기를 역임했다.[5] 이 기간 동안, 1927년까지 공산주의 아카데미에서 마르크스-레닌주의를 공부하며 이론적 기반을 다졌다.[5]
4. 당내 주요 경력
1929년부터 1930년까지 우즈베키스탄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를 지냈고[3], 이 중 1929년 4월부터 6월 11일까지는 제1서기를 겸임했다.[1][5] 이후 1929년 8월 5일부터[5] 1930년 8월 5일까지 아제르바이잔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서기로 임명되어, 당시 레본 미르조얀의 지휘 아래 혼란스러웠던 문화 정책을 재건하려 했으나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.[6][1]
1930년 7월부터 1934년 1월까지는 연방 공산당 중앙 감사 위원회 멤버였으며[5], 1930년부터 1931년까지 연방 공산당 중앙위원회 조직·지도부 부부장을 지냈다.[5] 1931년 2월부터 1932년 1월까지는 모스크바시 및 모스크바주 위원회 서기 겸 조직부 부장을 역임했다.[5]
1932년 1월 18일(또는 1월 23일[5])부터 1937년 3월 18일(실제로는 1월 25일까지[7])까지 벨로루시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서기를 맡았다.[1][5] 재임 기간 중 농업 분야에서의 공적을 인정받아 1935년 3월 레닌 훈장을 수여받았다.[5] 또한 당시 벨로루시에서는 중앙 집행 위원회 및 혁명 군사 소비에트 멤버를 역임했으며, 소비에트 연방 중앙 집행 위원회 멤버로도 활동했다.[2]
1934년 2월부터 1937년 10월까지 연방 공산당 중앙위원 후보였으며[5], 1937년 2월부터 10월까지 우크라이나 공산당 하리코프주 위원회 제1서기를 지냈다.[5] 같은 해 3월부터 이듬해 1938년 1월까지는 우크라이나 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멤버였다.[5]
5. 체포, 처형 및 사후 복권
이후 1955년 9월 2일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에 의해 당적이 복권되었으며,[1] 같은 해 10월에는 소련 최고 재판소 군사 참의회에 의해 사후 복권되었다.[2]
6. 가족
7. 유산
참조
[2]
서적
Рэпрэсаваныя лiтаратары, навукоўцы, работнiкi асветы, грамадскiя i культурныя дзеячы Беларусi. 1794-1991.
http://www.marakou.b[...]
Абрамовіч—Кушаль
2004
[3]
문서
Гикало
[4]
뉴스
В Грозном открыт памятник Дружбы народов
http://www.kavkaz-uz[...]
Кавказский Узел
2016-09-07
[5]
웹사이트
Гикало Николай Фёдорович
http://www.knowbysig[...]
knowbysight.info
2016-04-20
[6]
뉴스
Ruhulla Əli oğlu Axundov
http://anl.az/down/m[...]
2009-05-05
[7]
뉴스
Две короткие биографии
http://www.sb.by/obs[...]
Советская Белоруссия
2016-09-07
[8]
간행물
Об утверждении Перечня памятников культуры и истории, расположенных на территории Чеченской республики, стоявших ранее на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м учёте
Постановление правительства Чеченской Республики
2010-11-10
[9]
뉴스
В Грозном открыт памятник Дружбы народов
http://www.kavkaz-uz[...]
Кавказский Узел
2016-09-07
[10]
웹인용
Гикало Николай Федорович
http://hrono.info/bi[...]
[11]
웹인용
РЕАБИЛИТАЦИЯ: КАК ЭТО БЫЛО МАРТ 1953 — ФЕВРАЛЬ 1956 гг. - Пермский Мемориал
http://pmem.ru/index[...]
2020-02-11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